[Snu Roman.] 진보언론에 대하여 알아보자. Araboja.
[Snu Roman.] 진보언론에 대하여 알아보자. Araboja 시리즈 2편
여러분의 자그마한 성원에 힘입어 알아보자 시리즈 2탄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 올려서 얻는 유일한 낙이 여러분 댓글 보는 것임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습니다.
Snu Roman. Research Reserved.
오늘은 진보언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보수 진보가 무엇이냐는 힙합이 무엇이냐 이상으로 그 함의가 만만치 않기에 정확하게 분설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렇게 규정지을 수는 있죠. 보수는 안정을, 진보는 변화를 추구한다고 러프하게 이해합시다.
그렇다면 결국 가진 자는 자신이 가졌으므로 보수를, 못 가진 자는 자신이 갖지 못 했으므로 일반적으로 변화를 추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전자의 경우엔 상관관계가 높습니다. 많은 자본가들은 그래서 보수이길 바라죠. 세제 개혁이든, 지배구조 개편이든 전부 재벌에겐 불리한 이슈니까요. 그 어느 누구도 재벌에게 더 많은 특혜를 주자고 주장하진 않으니까 변화 자체가 가진 자본가들에게는 재미가 없는 겁니다.
미국에선 그러니까, 자본가들을 대변하는 월스트리트 저널은 당연히 보수의 지형에 위치합니다. 뉴욕타임스는 흔히 진보로 분류되고는 하죠. (물론 여기엔 많은 논란들이 있으니 이 정도로 합시다.)
미국 얘기를 해 보았으니 당연히 그 흥미도 한국 얘기로 자연스럽게 넘어오겠죠?
한국언론이라는 빛이 이념이라는 프리즘을 통과했을 때 각 언론들이
어느 스펙트럼에 자리할까. 오르비에 올릴 작정으로 한 번
심심해서 ppt를 이용해 그려봤습니다. 제가 모든 한국일간지를 다 읽어본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거의 구독을 해 보았고 제가 읽고 있는 것들과 몇몇 교수님의 에쎄이를 종합하면 대략의 map이 그려질 거란 기대감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리면서 제가 종래 갖고 있던 편견을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웹리서치를
병행했는데 이 작업을 진행하며 한겨레같은 언론을 과연 진보 언론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 일간지는 구독료보다 광고비가 3배이상 높은 말도 안 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결국 그 일간지의 명운을 쥐고 있는 것은 독자가 아니라 광고주이고 그 일간지는
돈을 벌어야 유지가 된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자본주의에 종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명분을 갖다대도 '팔아야만 하고' '광고를 받아야만 하는'
일간지는 절대로 자본주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알다시피
그러한 성격의 자본주의는 명백하게 우파의 레토릭입니다. "능력에 맞게
살자" "성공하려면 불평말고 네가 노력해라" "바로 위 기사는 삼성을 까는데 삼성이 어떻게
광고를 맡기겠느냐" 전부 다 같은 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에 한겨레는 제법 충실히 부응해왔습니다. 그들이 진보 담론의
확장에 공헌한 측면도 없지 않으나 결국 이명박 정부 들어 등록금이 5%도 오르지
않는 동안 그들이 내세웠던 '반값 등록금' 주장은 정작 등록금이 35, 29%올랐던
참여, 국민의 정부 때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생각해보면 한겨레에도 그렇게
진보적인 기사를 본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차라리 르몽드 한국판 월간지가
더욱 많지요. 안그래도 "잘 봐줘도 중도보수 언론"이라는 말을 듣는 한겨레의 한계랄까요.
예전에 한겨레가 서해성-한홍구의 직설에서 '놈현 관 장사를 넘어라'라는 코너를 냈었죠.
난리가 났었습니다. 유시민이 절독 선언하고 문재인도 유감 표명을 하는 등 호되게 힐난을 당했고
결국 한겨레는 편집국장 명의의 사과문을 실었습니다. 친노로 명명되는 참여당, 친노인사들은
진보 정당도 아니고 굳이 분류하자면 자유주의 쪽인데 한겨레는 몇 안 되는 그들의 아군을 잃을 수
없었던 것이죠.
문제는 이렇게 이 사정 저 사정 보다 보면 결국 그것은 제도권에 소속되고 그 룰을 충실히
따르며 살아남다보면 그들 고유의 색채를 조금씩 잃는 결과로 귀착된다는 데 있습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셨는데 삼성이 광고 끊었다가 다시 광고 주죠? 한 번 맛을 본 한겨레는
다시금 삼성을 대대적으로 공격하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아예 삼성 광고를 받지 않는
(주지 않는 건지 받지 않는 건지 둘 다인지 모르겠으나) 시사인과도 구별되는 점입니다. (시사in은 나꼼수 때 언론 중 거의 유일하게 팬덤을 얻어타서 구독료만으로 독자운영이 되는 거의 유일한 언론사죠)
"사회 의제를 주도하는 주요 언론들은 구독자(시청자)를 다른 기업에
광고영업을 통해 판매한다. 특히 구독자를 ‘오피니언 리더’로 고급화하는
흐름 아래 언론들은 지배계층과 광고주의 이해에 입각한 기사들을 제공한다.
이는 ‘뉴욕타임스’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 노엄 촘스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이념 스펙트럼을 그렸을 때 조선, 동아를 가장 우쪽에 당당히 그려넣을
수 있는 것과 달리, 가장 좌쪽에 제도권 종이 신문을 위치시키기는 참 애매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한국일보가 최근 우파 스탠스를 버리고 좌파 우파를 섞어넣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참신하지만, 난잡합니다. 원래 퓨전 레스토랑이 제일 인기 없는 거 아시죠?
'차돌박이 맛있는 집', '김치찌개 참 잘 하는 집' 등 하나를 특정해야 잘 팔리는 게 현재 시장인데 이거저거 다 갖다놓으면 잡탕되기 쉬우니까요. (별론이지만 개인적으로 한국일보의 이러한 시도가 요즘 퀄리티가 상당합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한 번 보세요.)
결국 우리나라 언론에서 진보 언론은 '없다' 혹은 '미미하다'고 결론 내릴 수밖에 없습니다. 민주당이 진보정당이 아니라 결국 자유주의를 배경으로 하는 중도보수 정당이듯 그나마 이들의 힘으로 먹고 사는 경향 한겨레가 이들마저 버릴 수 없다는 생래적 한계도 존재합니다. 말씀드렸듯이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월간)가 우리나라에서 발간되는 거의 유일한 진보 언론 아닌가 생각될 정도니까요.
사실 이 문제는 심각합니다. 사회 성원은 언론이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데 한 쪽 창이 없다는 건, 그만큼의 창 밖을 볼 수 없다는 거거든요. 강이 앞에 있으면 뭐합니까. 창이 없으면 리버뷰(River view)가 아닌데요. 북한 사람들이 멍청해서 가만 있는 게 아닙니다. 볼 수 있는 창 자체가 인민을위한 거지같은 기관지밖에 없으니 자본주의의 세계를 모르니까 가만 있는 거죠.
제가 진보주의자는 아니지만 제대로 된 진보언론은 커녕 그런 언론이 발을 딛을만한 토양조차 없다는 건 우려스럽습니다. 이건 필연적으로 심각한 사상의 빈곤을 수반하거든요. 볼테르의 말처럼 '훌륭한 정부는 그만큼의 훌륭한, 그러나 반대되는 언론을 갖고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제대로 된 진보 언론이 없으니 '진보'의 구획도 불명확하고 따라서 유시민 같은 얼치기 좌파가 자신이 진보임을 떠들어도 아무 논란이 없는 거고요. (유시민을 개인적으로는 좋아합니다. 다만 자신이 진보주의자임을 떠드는 건, 참여정부 때부터 많은 논란이 있어 왔습니다.)
특히나 요즘처럼 보수쪽이 망가져서 진보 코스프레를 할 필요조차 없는 지금은 더더욱 제대로 된 진보언론의 탄생이 요원하기만 한 것처럼 보이네요. 사실 무엇이 보수/진보언론인가에 대하여는 하고 싶은 말이 매우 많지만 이 글은 그러한 견해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 아니니 이쯤 마무리 짓겠습니다. 우리나라 언론은 어떠한가. 한 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 Snu Roman.(에쎈유 로만)이었습니다!
"I will always fight for progress and reform"
"나는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진보를 위해, 변화를 위해 싸울 것이다."
-조지프 퓰리처
(ㅇㅇ상의 바로 그 사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솦 1차 추합 후 예비번호 83번 됬는데 합격 할수 있을까요.. 0
1차에 85명중 55명 밖에 안빠졌는데..
-
추억의 게임 0
포켓몬 pt 기라티나 튀어나와요 동물의숲 삼다수로 돌리던 추억...
-
널 좋아해 3
미안 이제 못참겠어
-
추영우 영상 계속 보고 옴
-
제곧내입니다 사회성이 없는거같지는 않아요
-
하다가 잠깐 지운 거 제외하고 아예 안하시는분
-
과외하다보니 노베에게 정승제가 신이라는걸깨달았고 메가,대성처럼 1년치 한번에...
-
https://orbi.kr/00071928067 이거 풀어보실 기하 황좀 이분...
-
아직까지는 순조로움
-
왜 해달란 건진 모르겠음 5초컷 간다
-
돈벌고싶음들어와 0
Tsll지금다박으면 한달뒤에 입찢어지게 웃고있을듯 본인은 23불에 980주박고 지금 행복게죽을라니께
-
도전!
-
새벽 2시에 3
일본 버튜버 보는 나 도태한남의 표본이네
-
2012~2021년 어떤 모바일게임 이름을 대도 관련 썰이 몇개씩 생각남 ㅋㅋㅋ
-
현역 때 임정환 들었고 딱히 나쁘진 않은데 엄청 좋다!도 아니라서 이대로 갈지 말지...
-
초콜릿 상자는 여러분을 좋아합니다.
-
무려 1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전체 풀이를 다시 다 검토했다는 점 심지어 문제 자체가...
-
옯스타 맞팔구 9
txtx._.x0 이따 글삭함
-
아효.. 추워
-
작수44445 6평32323 9평31212 올수33334 지거국 낮과 갈거같은데…...
-
제가 신택스 듣다가 처음엔 잘 이해했는데 챕터2 5형식 넥서스 드가자마자 뭔가...
-
찾아보니까 그렇던데 이게 막 빵꾸 그런건가용? 근데 이런건 운의 영역인가요? 아니면...
-
고백하고 옴 12
(고백공격아님) 마음정리 해야지 이제..
-
손을 모으고 좀더 눕자
-
광운대 뻔선 문화는 있나요?? 수강신청 막막하네요 아. 자전인데 신설과라 선배자체가 없을까요 하
-
대치동 식당 추천받아여 22
대치키즈긴 한데 안가본 식당이 많음 ㅠ 주말 점심에 밖에서 때울거라 혼밥 하기 쉬운곳 선호함
-
600즈음이었나
-
새루비들 안녕!! 31
오늘 보름달은 보셨나요!!
-
질문받습니다 12
암거나
-
기하 평면벡터 6
원래 이렇게 어렵나요 이차곡선은 그래도 재밌게 했는데 어렵네요 ㅠ.ㅠ
-
코딱지팠는데 8
딱딱한고체가아니라풀처럼끈적한거여서안떨어짐
-
얼버잠 3
잘자요 저는 새나라의 어린이라서 먼저 갑니다
-
이쁜이
-
좋아하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
-
성격부터 고치자 4
패배의식으로 가득한 성격부터.
-
은 못하겠더라 2인분 이상 먹어야해서 그래서 일식집 미친듯이 좋아했음
-
8시에 기상해야함
-
님들은 김하늘 양 관련 장원영 논란에 대해 어케 생각하심 9
솔직히 장원영한테 왜 안 오냐고 뭐라 하는 건 이해 안 가긴 하는데 제가...
-
고대 4
건사환 어떰 반수해야함?
-
수면패턴은 한시간반 단위라 30분 이따 네시간반 자는게 맞음 폰을 더하고싶어서 그러는건 아니고
-
재종 솔플하기 6
기대된다 흐흐 사실 난 혼밥하는것도 좋아함
-
한양대 근처에 구경할 거 많은 곳으로 추천해줘여 이쁜 대학 산책도 좋아하고 그냥...
-
김지우가 누구임 6
333으로고자전은뭐임
-
남이사 11
고자전을 가든지말든지 뭘 떨어지라느니 ㅋㅋ
-
자기전에 유튜브로 우진쌤 썰푸시는거 보다가 잘려고 딱 누웠는데 계속 우진쌤 생각...
-
미점공자 빼고 최소 19명 빠졌네
-
소신발언 2
잠
-
시간별로 편차둬서 먹는다는데 그럼 대충 몇분정도 줌??
-
중학교때 짝꿍으로 걸린 여자애들은 항상 책상 떼서 거리 유지하라 했었는데 어느날...
갓누 갓만....
개인적으로는 언론 중에서 제일 낫다고 생각하는게 시사인이랑 르몽드네요
한겨레는 창간 당시의 그 마음을 다시 되새겨봤으면 좋겠습니다.
그럴듯한 진보 언론 하나 가지기가 이렇게 힘들까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