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러들 모여라~ 1문제 풀고 가자 ^~^
다음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이번 문제는 책임 윤리 요나스야.
매번 끊임없이 나오는 새로운 표현들로
우리를 괴롭히는 녀석중 하나가 아닐까?ㅠㅠ
물론 교육과정 마지막 해에 와서는..
나올만한 선지와 내용은 거의 다 나왔지만
그래도 아직 크게 강조가 안 된 포인트가 존재해서
문제 가지고 왔어^~^
답은 몇번일까?
-------------------------------------------------------------
[정답과 해설] ④ 책임 윤리 - 요나스
ㄱ(x) : [사후적 보상이 아닌 사전적 예방의 책임이 필요하다]
사후적 보상은 사건이 발생한 뒤 보상하는 것을 뜻해. 예를 들어 교통사고를 일으켰으면 교통사고 발생 후에 보상하는 것을 뜻하지.
요나스는 기존의 전통윤리가 사후적 보상에 치중한다고 비판하면서 시작해.
그러니까 환경 파괴 -> 보상 ->환경 파괴 -> 보상.. 이 메커니즘이 끊이지 않으면서 결국 누적되어 환경은 물론이고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가 생긴다고 보는거야. 그리고 단순 보상은 이제 과학기술이 너무 발달해서 그 영향력이 커져 커버하는데 힘들다는거지 ㄷㄷ.. 그래서 '사후적 보상'이 아니라 앞에 있을 일을 미리 예상하여 예방하기 위한 책임을 지는 새로운 차원의 윤리인 책임 윤리를 말하게 되는거지.
그렇다면 이 책임 윤리는 사후적 보상을 안 지는걸까? 그건 또아니지 ㅋㅋ
사후적 보상 보다 사전적 예방을 중시하는거야. 사후적 보상을 부정하지는 않았다~ 이말이야ㅇㅇ
ㄴ(o) : [자연스러운 감정은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될 수 있다.]
요나스는 칸트를 이어 받은 의무론이니까 당연히 부정할거라고 생각하지? 그게 아니야. 생각을 해봐. 애초에 요나스가 '공포의 기술'이라고 공포심을 일으켜야 한다고 하잖아. 그리고 이 공포심을 통해 도덕적 행위를 이끌어내잖아 당연히 감정은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돼.
ㄷ(x) : [전통윤리의 발전을 통해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ㄷ을 틀린 학생은 분명 '전통 윤리의 발전'='책임윤리'라고 생각했을거야. 그런데 너희가 알아둬야 하는건 ㅋㅋ 항상 책임 윤리에는 '새로운 윤리'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어 ㅋㅋ 그 말은 뭐냐? '전통 윤리'와 '책임 윤리'는 아예 영역이 다르다는 뜻이야. 책임 윤리는 다른 차원의 윤리야. 전통 윤리의 발전이 책임 윤리를 뜻하지 않아 ㅇㅇ.
물론 요나스는 전통윤리로도 해결가능한 영역이 있다고 했어 ㅇㅇ.
그런데 ㄷ 선지처럼 '전통 윤리로 해결해야한다!'는 아니라는거지^~^
ㄹ(x) : [책임의 본질적 속성 중 행위를 하지 못하게 막는 공포를 활용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번 수능완성 '보기'에서 가져온거야.
얘들아. 요나스에게 있어서 책임의 본질적 속성은 행위를 막는 공포가 아니라 행위를 하도록 북돋우는 공포야.
무슨 말이냐? 잘 생각해봐 ㅋㅋ 이제 수능 50일 남았지? 그럼 형이 너희보고
'얘들아 족됐음 ㄷㄷㄷㄷㄷ 수능 50일 남음 ㄷㄷㄷㄷ 님들 족됐음 ㄷㄷㄷㄷ' 라고 계속 수능 날짜에 대한
공포를 주입한다면
너희는 '헐ㄷㄷㄷ 족됐음 ㄷㄷㄷ 빨리 실모풀고 틀렸던 문제 정리하고 ㄷㄷㄷ 약점 정리하고 ㄷㄷㄷ해야겠네 ㄷㄷㄷ' 라고 하는거지 ㅇㅇ..
즉 행위를 북돋우는 공포가 바로 요나스의 공포야.
'여러분 ㄷㄷ 지금 이대로 살면 환경 족되고 미래세대 족되고 인류 멸망여 ㄷㄷ 좀 미리미리 싸게싸게 생각좀 잘해서 착하게 삽시다 좀 ㄷㄷ'
이게 요나스의 공포야 ㅇㅋ?
수능완성에서는 '행위를 못하게 막는 공포가 아니라 행위를 하도록 북돋우는 공포가 책임의 본질적 속성이며, 이러한 공포는 책임의 대상에 대한 공포이다.' 라고 말해
요나스 잘 정리해둬랑^~^
0 XDK (+10)
-
10
-
그냥 불이 좀더 유리한 정도??
-
100 1 99로 ㄱㄴ?
-
제곧내입니당 ㅠㅠ
오늘만 두 문제ㄷㄷ
ㄷㄷ.. 비판형이 아니니까 머리 덜 써서 2개 만들어 봤음 ㄷㄷ
답은 1번인거 같은데 ㄱ에 요나스는 사후보상과 더불어 사전예방도 필요하다고 보지 않았나요?
와 적절하지 않은거네 그럼 4번 이런 유형도 꼼꼼히 읽어야한다는 교훈 얻고 갑니다
4번 ㅇㅋ!
ㄷ선지가 헷갈리는데 1번인거같아요
음.. 해설 확인해줘!
그래서ㅠ이거 답이 뭐예요??
해설도 있어~ 확인 해봐!
해설 확인!
응 잘했어 ㅋㅋ. 조금 더 보충을 해주자면 왜 그런지도 생각해봐!
ㄴ은 오개념을 노린건 맞는데 그렇다면 어떤 감정이 도덕적 행위를 이끌까?를 생각해보구
ㄹ은 이번에 수완에 나온 표현 적어놨으니 저거 읽어봐^~^
어쨌든 잘 분석한거 맞아 ㅋㅋ
적절하지 않은 거네ㅋㅋ 3?
아씨ㅋㅋ ㅈㄴ 헷갈리네
ㄱ에 사후적 보상이 인과적 책임 의미하는 거면 맞는 선지겠지?
ㅋㅋㅋ 수능에서는 똑바로 읽어랑 ㅋㅋ
아 ㄱ이 틀린 선지라고 알고 있었는데 뇌절와서 또 이상하게 판단했네ㅋㅋ
행님 덕분에 수능에서 할 실수 미리 챙겨갑니다
와..근데 ㄹ이 틀린 게 아니면 답이 없어서 ㄹ이 일단 틀렸다 하긴 했지만..난 행위를 막는다는 것이 인류의 존속에 위험을 불러오는 행위를 막는다는 건줄 알고 이게 왜 틀렸지ㅅㅂ 했는데 ebs보기였고 다른 의미였구나
음.. 형이 너 말 듣고 보기를 다시 생각해보니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앞에 확실히 조건을 달았어 ㅠㅠ. 앞에 내용은 너무 넓었던 것 같아. 만약 문제로 나온다면 지금 처럼 책임의 본질적 속성은~~ 하고 조건을 달아줄거니까 지금 내용으로 확인해봐!
답 3인가여
4번입니당 확인해보세용!
해설 맛깔나네요 재밌게 풀고 가요
형 다른 글도 보고 잘 챙겨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