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노력해도 성적이 제자리걸음인 상황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 인사말
안녕하세요? 치대생 시나몬입니다.
가명으로 누구에게 제 소개를 드리는 것은 처음이라 상당히 부끄럽네요.
작년 풋풋했던 고3 시절, 오르비에서 훌륭한 선생님들이 올려 주신 칼럼들과
입시에 성공하신 대학생 분들이 올려 놓은 수기들을 읽으며
저 또한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섰을 때
좋은 글, 좋은 칼럼을 오르비에 올리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배지만 보셔도 알 수 있듯이
입시에 있어서 저보다 훨씬 성공한 사람들이 많겠지만
입시에 대한 저의 경험과 생각을 나누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단 한 명이라도 있다면 저는 앞으로도 계속 글을 써내려가겠습니다.
긴 첫 인사말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돼서 성공적인 입시에 힘이 되길 바라겠습니닷!!!
<수학, 노력해도 성적이 제자리걸음인 상황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I. 실패의 기록
당연한 사실이지만 노력과 성적의 관계는 어느 정도 비례합니다.
다만 그 비율이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라 많은 사람들이
특정 과목에 '벽'을 느끼고 쉽게 지쳐버리기 마련입니다.
저는 특히 수학 과목에 그 벽을 느낀 적이 있었습니다.
때는 2017년,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넘어가는 겨울방학에
고등학교 입시에서 실패했다는 생각에 절망감을 느끼고
당시 기본서 중에 가장 어려웠던 '숨마쿰라우데'의 모든 문제를 다섯 번씩 풉니다.
흔히들 말하는 5회독이 아니라 모든 문제를 동그라미 다섯 개로 만들어서 실제로는 8회, 9회독이었습니다.
(숨마쿰라우데: 특징 - 난이도로 악명 높음)
힘든 과정이었지만 교재의 모든 문제에 동그라미 다섯 개를 만든 후에
기대감과 긴장감에 부풀어서 고등학교 1학년 3월 모의고사를 치루는데 65점을 받습니다.
당연히 큰 절망감에 빠졌죠.
하지만 이것도 "시험범위가 달랐기 때문에 시험을 못 치룬거다"하는 식으로 자기 위로를 하며
첫 중간고사까지 그런 식으로 대비합니다.
쎈과 블랙라벨, 교과서, 학교 학습지 모두 동그라미 두 개를 만들어서 중간고사를 준비했지만
수학 시험 결과는 200명 중에 50등.
자사고인 걸 반영하더라도 노력에 비하면 너무 안타까운 성적이었죠.
II. 고통 끝에 찾아온 성공
두 번이나 실패를 겪었으면 이제는 공부 방법을 바꿀 때가 되었죠? ㅎㅎ
저는 고1에서 고2로 넘어가는 겨울방학 때 (2017-->2018)
쎈 미적분I, 미적분 II, 블랙라벨 미적분 I, 미적분 II, 자이스토리 수능 기출 문제집을 모두 풉니다.
대신에 1학년 때와 달리 수능(평가원) 기출 문제를 제외하고 답지를 한 번도 보지 않습니다.
첫날 보고, 둘째 날 보고, 그 다음 주에 보고 어떻게든 풀어냅니다.
수능 문제는 너무 어려운 문제에 충분히 고민했다 싶으면 그 때 답지나 해설강의를 봤습니다.
(여담이지만 수능 문제는 다른 문제들보다 배울 점이 많더군요)
그 덕에 2학년 내내 수학 1등급을 안 놓치고 전교 1등도 꽉 쥐게 됩니다.
(1단위짜리 확통은 1등급이 아니었네요ㅋㅋㅋ- 인간미)
"그런데 이게 과연 숨마쿰라우데 동그라미 다섯 개 만드는 노력보다 많은 것일까요?"
저는 아닌 거 같습니다.
힘든 건 중학교 3학년 겨울 방학이 더 힘들었죠.
노력은 그대로였지만 바뀐 건 공부 방법이었고
수학에 알맞게 공부 방법이 바뀐 덕에 포텐셜이 터진 것 뿐이었습니다.
III. 성공의 이면
여러분, 공부는 관성을 가집니다.
그 관성을 많은 사람들이 습관이라고 부르는데,
좋은 습관은 여러분의 성적을 필연적으로 올리지만
나쁜 습관은 여러분의 성적을 곤두박질 치게 만듭니다.
한 번 이상 큰 실패를 겪었다면,
그 관성에 제동을 걸 용기를 가지셔야 합니다.
관성(습관)은 질량(여러분이 투입한 공부 시간)에 비례해서 커지므로
그게 좋은 습관이든 좋지 않은 습관이든 바꾸는 것은 힘듭니다.
그것은 큰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고
정말 고통스럽기도 하죠.
제가 수능 보고 나서 유튜브에 남긴 댓글입니다.
공부 방법을 바꾸고 꾸준히 노력하는 게 너무 힘들어서
버스에서 해 뜨는 걸 보고 울 정도였습니다.
정말 고통스러운 과정이었죠.
그리고 그 '고통'이 많은 사람들이 나쁜 공부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여러분, 기본서를 다섯 번 푸는 게 옳은 공부법입니까?"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지성인 오르비언 여러분들은,
저의 무식했던 공부 방법을 보고 "아 요새 누가 저렇게 공부해?"
하면서 웃어넘길 수도 있겠지만
"당신은 올바른 방식으로 공부하고 있나요?" 라고 질문했을 때
누가 "네, 그렇습니다" 라고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저 또한 제가 제 입시 기간동안 나쁜 습관을 완전히 벗어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고1 3월 모의고사 평균 3등급이던 제가 수능에서 국어, 수학, 영어 모두 1등급을 받았습니다.
어쩌면 입시에서의 승리는 기존의 것을 탈피하는 노력이 수반되지 않으면 애초에
불가능한 것일지도 모르죠.
오늘,
이 글을 읽고 주무시기 전에 딱 한 번만 더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내 공부 방법이 실제로 내 실력을 올리고 있는가?"
"나의 나쁜 습관이 나 자신을 제자리에 머물고 있게 하지는 않는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유튜브에서 영상으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근데 개인적으로 글로 읽는 게 더 이해가 빠를 될 듯 합니다 ㅎㅎ. https://youtu.be/Xpe43DR93XY)
댓글이나 충고 꼭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ㅠ
첫 글이라 정말 큰 힘이 될 거 같아요.
(진짜 늦었지만 과잠 자랑은 덤...ㅎ)
0 XDK (+250)
-
250
-
ㅇㅈ 5
ㅇㅅㅇ?
-
부모님 몰래 반수 하려는데 스카는 대충 동네 도서관 간다 쳐도 메가패스 너무 비싸...
-
카톡 이모티콘 제발 내줘라 내가 이걸 캡처해서 써야해???? 모르겠고 열번 찍어 안...
-
스카에 혼자있음
-
솔직히 수시랑 정시랑 대학 이원화를 해야한다고 생각함 3
야식 메뉴 추천좀요 자다깼어요
-
뭐가 낳아요? 공군 카투샤 공익 상근 뺀 군복무로 합시다
-
ㅠㅠ cc하고 싶으면 저 쳐맞아야겟죠?
-
1단원 듣고있는데 이 파트 개념 부분은 굳이 강의 들어야하나 싶음 포물선으로 유도한...
-
언매 화작 8
25수능 화작 1틀이고 17분정도 썼습니다 사설모고나 n제 풀땐 11분 안쪽으로...
-
이거 주제 괜찮나요? 글고 저희 쌤이 세특 내용도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적어주셔서...
-
뱃지만들어줘 제발
-
한의대의 단점은 혹시 뭐가 있을까요?? 특히 지방한의대 다니시는 분들의 의견이...
-
대학 와서 혼밥은 진짜 일주일에 한두 번 할까 말까인 것 같은데
-
. 12
-
닥전인가요?
-
컴공 망해라 2
제발 좀 ㅈ망해라 입결 어문보다 낮아져라 미래 ㅈ박고 SI기업이 최대 아웃풋인...
-
힝..
-
중딩때 1~3학년 다 조용하고 말수가 적음 적혀있었음... 그리고 영어생기부에...
-
근데 장수를 하게 되면 20
N수의 N이 커지면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포기해야하는 기회비용이 많이 생깁니다...
-
그리운 이하생략 0
https://orbi.kr/00067106804 누군지모르겠죠
-
수능선택으론 언미생1지1물2화2 해봄요
-
ㅜㅜ
-
서울교대 반수 16
25년부터 1학년 1년동안 휴학 못 하는 것으로 바뀌었나요? 1학기에는 교양이나...
-
골라봐
-
인하대 전기전자vs홍대 기계시스템 디자인 취업 잘 되는 곳 어딜까요
-
독코인은 어디에 쓰는 건가요?
-
미대 많이들어봄
-
서울대간사람이 학벌이 먹고사는데 안중요하다고 말하는거아님?
-
나빼고다종강해 2
대체웨
-
국어9. 수학1(100) 영어2. 화1 50 생1 47
-
동국대가 높은줄 알았는데 칸수는 홍대가 더 낮아서 궁금함
-
ㅈㄴ놀랏은.. 본 주소는 잘썻는데 상세주소를 자취방으로 써놧더라... 전화해서바꿈...
-
변환표준점수 3
변환그래프완선전
-
배고프디ㅡ 10
-
성대 변표 1
성대 변표 발표가 영어는 불이익이 될 일 밖에 없는것 같은데 탐구도 발표가 불이익일...
-
평타가 아니라서 이 글 클릭
-
요즘 학생들에게 가장 핫하거나 이슈가 되는 물건이나 아이돌 등이뭐가 있나요?...
-
비문학 보기문제 싹 버려도 되겠죠?
-
메가 청솔 둘 다 겪어봤는데 분위기는 그렇다 쳐도 일단 컨텐츠가 너무 딸림 대성이랑...
-
부모님은 성공한 커플이잖아 나처럼 죽어도 애인이 안생기는상황자체를 이해몬하는거야
-
올수 인공지능 학습 지문 보자마자 심리적 안정 +999하고 지문 내용도 절반은...
-
삼수 기숙학원으로 러셀기숙 남학생전문 생각중입니다. 러셀 공통으로 국영수 3합5...
-
연세대 상경에서 0
씨파 로스쿨등 고시류 대기업 공기업 다합치면 거의 90프로붙나요? 한학번당
-
그거 내심 기대하면서 대학가는애들한텐 적용안됨
-
대학다니면 여친생긴다 14
겠냐
-
대학 라인 3
인하대랑 겹치는 인서울이나 수도권 대학이 국숭~세 이쯤인가요?? + 아주 과기?
-
걍 공부를 안하는듯해요 겨울방학때도 그냥 지금까지 살았던것처럼 살면 되겠지라고...
-
애니를볼려고탭을켤려다가그냥안은채로폰으로오르비를돌아다니는중
-
때문에 재종 전장 못받잖아 시발 개빡치네
조용히 올라가는 좋아요..ㅎㅎ 고맙습니닷!
수학을 공부할 때 맞은 문제는 다시 풀지 않고 틀린 문제는 끝까지 고민해서 풀어내야 한다는 말씀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ㅎㅎ
넵, 본질은 그거입니다! 맥락을 다 얘기하고 싶어서 글이 길어졌네요ㅜㅠ 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근데 몇번 고민해봐도 모르겠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죠?
3번 정도 보고 이해가 안 될 때에는 답지나 해설 강의를 봐도 됩니다. 그 정도로 고민하고 답지를 보면 스스로 어떤 부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지, 내가 부족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가 확실히 보이거든요. 특히 문제집 말고 수능, 평가원 모의고사 기출 문제같은 경우에는 수능에서 요구하는 생각의 틀이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히 고민한 후에 답지나 해설 강의를 보면 그 틀이 확실히 머릿속에 들어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위에 정도면 충분하지만 조금 부연하자면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건 모르는 문제도 충분히 고민하면서 풀어 보는 경험을 쌓는 것 같습니다. 조금 뜬금없는 비유일 수도 있지만... 김연아가 스케이트를 시작했을때 처음부터 노래에 맞춰서 타지 않았잖아요 ㅎㅎ 같은 동작을 끊임없이 천천히 연습해보고(기출문제/연습문제 고민해 보면서 풀이) 다른 동작이랑 맞춰봐야(실전연습/모고 풀이) 아름다운 노래랑 같이 박자에 맞춰서 출 수 있겠죠(수능때 완성)? 그니까 첫단계로 충분히 고민하면서 풀어보는 게 정말 중요해요.
제가 이과생이고 수학이 1등급은 나오는데 항상 커트라인에 걸친 1이거든요.. 사실 제가 끈기가 없어서 모르는것을 충분히 고민해야하는데 조금만 고민하고 거의 10분 넘기면 바로 해설을 봅니다.. 지금 이미 7월인데 다시 관성을 깨고 시나몬님이 말하신 방법을 적용해도 괜찮은 걸까요? 이 방법이 저를 지치게 하진 않을지 걱정됩니다.
고민해 보고 10분 넘기면 해설을 보는 습관이 이어지면 수능 시험장에서 문제가 한번에 안 풀렸을 때 당황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킬러문제같은 경우 한 문제를 10분 정도 고민하되 한 번 안 풀린다고 해서 포기하지 말고 최대 3번까지 고민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렇게 한번 안 풀린 문제를 돌파해내는 경험을 반복적으로 하다보면 수학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지고 시험에서 문제가 안 풀리더라도 ‘돌아오면 풀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그리고 커트라인에 걸친 1이라면 두 가지 케이스가 있습니다. (1)비킬러에서 시간이 뺏겨서 킬러 풀 시간이 없다 (2) 시간은 남는데 킬러 문제 접근이 힘들다. 각각 공부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출문제랑 n제를 정확하고 빠르게 푸는 연습을 해서 어떤 문제든 당황하지 않게끔 가이드라인을 만든다.
(2) 충분히 고민하면서 킬러 문제를 돌파하는 연습을 한다.
사실 1등급 컷일 때 (1), (2)가 명확하게 나뉘는 경우는 많이 없으니까 둘이 적당히 섞어가며 공부하시면 됩니다 ㅎㅎ
두번째 질문은, 제가 인강이 맞지 않아 독학서로 수학을 공부하고 있는데 시나몬님의 방법을 적용하면 수학 실력을 제대로 키울 수 있고 체화도 쉽게 가능하지만 진도가 너무 늦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이제 150일정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과목하기도 벅찬 시점에 이 방법을 적용했을 때 다양한 수학문제들을 접할 기회가 적어질텐데, 그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시나몬님은 이 방법에 대해 긍정하는 입장이신가요?
150일이라는 시간적인 압박이 크게 작용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질을 위해 양을 타협하는 방식으로 공부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저는 작년에 킬러 문제로 구성된 n제를 풀 때, 질과 양을 모두 추구하기 위해 문제마다 시간 제한을 둬서 한번에 못 푼 문제를 또 볼 때 시간 낭비를 최소화했습니다. 물론 충분히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을 때 접하게 되는 문제 수가 적어지기는 하겠지만 위에 방법으로 그걸 최소화할 수 있고 무엇보다 수능에서 위기 대처 능력을 기르기 위해 같은 문제에 여러 번 푸는 연습을 해야 한다는 걸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닷!
수학 질문 답변 감사합니다
더 찾아보고 궁금한 거 있으면 여쭤도 되나요?
덕코 놓고갑니다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