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공 [367659] · MS 2011 · 쪽지

2012-11-02 23:03:28
조회수 1,300

한석원모의 3탄 1회풀어보신분 질문드려요

게시글 주소: https://ip1ff8si.orbi.kr/0003156472

풀면서도 약간 어이없었는데

시그마 k^4꼴 공식도 나오고, 순환소수도 나오던데 수능에 출제가능성이 있어서 낸건가하는 생각이... 지금까지 실전모의풀면서 이런내용 처음이여서 놀랐네요

그리고 8번푸는데 저는 2.06은 안나오고 10^0.06만 나오던데 일단 0.06맞춰 답 2.06해서 맞긴 맞았는데 어떻게 2.06이 나오는건가요?
그리고 13번 행렬ㄱㄴㄷ문제중에 ㄷ이 0이 아닌 실수들로 구성된 두 이차정사각행렬의 곱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 두 행렬중 한가지는 역행렬이 존재하지않는다. 이거잖아요
두 행렬에 모두 0이 없으면 
AB 역X ----> A or B 역X는 당연히 알겠는데 A&B역 X인 경우는 존재하지않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웃음후보한화이글스 · 416451 · 12/11/02 23:41 · MS 2012

    순환소수가 어디나왔죠??

  • 탁공 · 367659 · 12/11/03 13:54 · MS 2011

    나형 3탄 1회에 나왔어요

  • 마다가스카 · 411458 · 12/11/03 10:27 · MS 2012

    ???나형인가요? 가형인데 풀면서 시그마 k^4공식과 순환소수는 쓴적없는데요.. 시간재서풀고 4점짜리만 골라서 복습까지했는데..

  • 탁공 · 367659 · 12/11/03 13:53 · MS 2011

    죄송해요 나형이었어요^^;

  • 독재넘 · 405248 · 12/11/03 12:36 · MS 2012

    순환소수나 이런문제요 빡샘이 일부러내신거래요. 어차피 이건 수능이아니니까 여러가지문제 풀어보라고요.

    기출에 순환소수문제 한번 나왔었으니까 한번쯤봐두라고 내신거래요

  • 탁공 · 367659 · 12/11/03 13:54 · MS 2011

    아 그런의도였나요;; 강의를 안들어서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 독재넘 · 405248 · 12/11/03 12:37 · MS 2012

    시그마 k^4공식 은 식가지고 변형하면 풀릴거에요 그걸전개하라는게아니라

    위에 두분 푸신거맞으신지 , 순환소수 나왔습니다 ,

  • 웃음후보한화이글스 · 416451 · 12/11/03 13:07 · MS 2012

    나형이신가보네요 전 가형이라^^;

  • 마다가스카 · 411458 · 12/11/03 15:01 · MS 2012

    댓글읽으시죠. 가형이라니까요

  • 웃음후보한화이글스 · 416451 · 12/11/03 15:54 · MS 2012

    제가 댓글단시간이 더빠른데 어쩌라는거죠..

  • 탁공 · 367659 · 12/11/03 13:53 · MS 2011

    아 제가 나형가형표기를 안했었네요
    전 나형이었고 순환소수하고나왔는데 시그마k^4공식 어떻게 전개하셨죠??
    분모가 6n^4인가^5였고 분자가k^4였잖아요 분모 앞으로 빼고 시그마k^4를 풀어서 곱해줘야됬는데 도저히 모르겠어서 인터넷에 k^4공식치니까 나와서 그거로 풀어는 놨는데 안쓰고 풀 수 있나요?

  • 캄푸스 · 366959 · 12/11/03 21:56 · MS 2011

    29번 이요 ? 그 k^4를 직접 구하는게 아니라 lim시그마 (1/n)(k/n)^4 이걸 뭐라하더라.. 적분정의 ? 암튼 그렇게 푸는거에요 일일이 구하는게아니라

  • 아르시오네 · 400551 · 12/11/03 19:12 · MS 2012

    오늘 막 풀었는데, 순환소수는 그거 분모에 알맞게 양변에 곱하는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두 문제와 같은 경우에는 8번에서 백분위 퍼센트로 구하는 거니까 B1/B2*100으로 생각하셔서 0.06에다가 2를 더하시면 나오는 것이고요.
    13번에서는 그거 증명하려면 귀류법 써야해요. 그니까 A와 B의 역행렬이 둘다 존재하면, AB의 역행렬이 존재한다. 이런 식으로 이해해야지 확실히 맞다는 것 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