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잡지식
오늘은 역사라기보다는 인물 이야기
천관우라는 분이 있습니다.
1925년에 태어나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언론계에 종사한 인물이죠.
뜬금없이 이분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는 이분이 한국사계의 먼치킨이기 때문입니다. 언론계 인물이면서도 말이죠.
굵직한 사례 몇 개만 살펴보겠습니다.
서울대 졸업 당시 '반계 유형원'을 주제로 한 '반계유형원연구'라는 학사졸업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논문은 대한민국 실학 연구의 시초로 꼽히는 논문입니다.
학계의 한 흐름을 학사졸업논문에서 만들었다는 거죠.
이후 오랫동안 언론계 생활을 이어가다 군사 정권의 탄압을 받으며 다시 역사학계로 돌아왔는데,
이 때 고조선사와 삼한사 등을 연구하며 '군장국가-연맹국가-고대국가'로 이어지는 틀을 마련하는 한편
가야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당시 학계의 난제였던 임나일본부설을 타파하기도 했습니다.
쉽게 말해 역사 연구를 주업으로 삼지 않으면서도 식민사관 깨부수고 학계 흐름 만들어내고 한 것입니다.
오죽하면 서울대 사학과의 거두인 이병도 선생께서 숱한 제자들을 양성하면서도 천관우 선생을 보고 '군계일학'이라고 했다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개물개 =물개^2
-
딱 낫배드정도인가요
-
인접3항간 선형 점화식
-
버스 없이 다니면ㅋㅋ 그냥 여름에는 죽겠는데
-
커담 5
했는데 키스할사람
-
자 드가자
-
윤석열
-
국어나 탐구같은거 지금 풀어야댐?
-
탄젠트
-
오늘의노래추천 4
요루시카 - Make-up Shadow 나부나 - 메류 아도 - RuLe 스리이 -...
-
사람맞습니다감사합니다
-
2월 소비 근황 7
다시 과외 뺑이치러 가야겠다
-
빠르네
-
정했다 재수할지 2
시대기숙일단 특별서류전형으로 전북의로넣고 전장이면 들가고 아니면 군대갈게
-
있나요
-
스펙평가좀 10
163 120 18
-
잘잤다 3
오후 6시에 알바 간다고 오후 4시 40분까지 처자는 인생
-
안녕하세요. 긴 수험생활을 이제 마친 대학생입니다 아마 지금 쯤부터 n수에 대해...
-
인생이고달프다 1
뭐하나내세울게없는인생에휴
-
스펙 평가 좀 4
현역임 졸림
-
안에 상황을 모르는데 전혀 아무 소리가 안들림 사람은 다 있는데
-
오노추 0
언제 들어도 좋은 노래 만찬가
-
뱃지 왜 안오지 2
은근 신경쓰이네
-
정답은 6
07년생군필여고생이었습니다수고하세요
-
하하
-
몇장 줄라나 넣어만 봐도되나 등록안하면 반수반 못들어가거나 이런 패널티 없겠지?
-
빌리기는 죽어도 싫음 노래 들어야돼
-
부산 태종대에요 오랜만에 바다보니까 기분좋네요
-
정답은 3
02년생 군수생이앗습니다 아무도 못 맞추셧네요. 감사합니다
-
휴학할 때 반수해서 올릴 곳이 없음
-
나같은케이스 매우 드물듯
-
무휴학논술반수 할려 그러는데 여름방학때까지만 알바 병행하면서 해도 괜찮을까요?...
-
쌩으로 한번 더 vs 반수반 뭐 할거임
-
헤치웠나 0
-
넌 서울대 가라
-
어쩌다 수능판에 다시 뛰어들게 된 00년생인데요 과탐(특히 생1)에 수능때마다...
-
수시로 들어간 친구고, 수능 성적은 명지대 문사철 정도 ㅇㅇ 그렇다보니 눈은...
-
에휴이옯찐따여서미안해
-
19년째 안드로이드 유저라 울었어
-
하 9
인스타에 프리렌 코스프레한 사람 앞에 놔두고 햄버거 먹는 영상 하트 눌렀었는데...
-
제무물보 20
제발 무엇이든 물어봐주세요
-
https://m.sdijbooks.com/detail/ser/default.asp?...
-
갑자기생각나서궁금해짐
-
해주라
-
친구들은 아깝다고 대학급간 조금만더 올리는게 낫다하고 고민이 되는군요
-
작년에 16번,재작년에 19번까지 빠짐 앵간하면 붙을거같은데 몇차때 빠질까
-
난 이미 긁은 복권인데 넌 아직 안긁었잖아 난 꽝이야
-
아사람들 왜 질문과 관계 없는 댓글 다는 데 열중하나요 10
아사람들은 지금 수학노베를 뭘로 보는건가요
-
탈릅해야지
-
누가 더 유리할거같아요?
천관우 박사 외에도 노태돈 교수 같은경우에도 학부시절 쓴 논문이 교지에 실린...
노태돈 교수님 고구려사 연구 내용 보면 확실히 다르다는 게 느껴지긴 해요
그나저나 확실히 서울대라 그런지 사학계에도 걸출한 인재가 많은 듯하네요
예비고사 수석 출신의 송기호 교수님도 계시고, 이병도 선생이나 이기백 선생은 말할 것도 없고...
지도교수님이 송호정 교수님... ㅋㅋ
한국사개론 듣는데 절반 이상을 고대사로 나가셨죠...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디따 멋있네요!![](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그쵸그쵸캬 연맹국가 와같은 체계구조를 만드신분이라니
사실 저 분야에서는 천관우 선생의 공도 있지만 윗댓에 언급한 이기백 선생의 공로도 커요. 이기백 선생도 한국사학사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가르치는 커리큘럼을 보면 공학측면은 서양쪽이 큰데 사학분야는 뭔가 체계라던지 이런걸 독자적으로 쓰려고 노력하는것같아요. 그게 좋은건지는 독바님같은 우리세대의 숙제겠죠
좋다 나쁘다의 가치판단의 영역이라기보다는, 과거의 사실에 다가가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갖춰가고 있는 거라 생각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한국사를 연구하는 데 서양의 연구 방법을 썼을 때의 이점과 독자적인 연구 방법을 썼을 때의 이점이 모두 있을 거니까요.
별개로 탈서구주의적인 역사 연구는 21세기 역사학의 트렌드이기도 해요. 이건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자들도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구요.
역사학자이자, 언론인 출신으로 잘 알고있지요 :)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 이기백,노태돈과 견주는 위치에 계시던분이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