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대학이 많이 필요한가요?
대학도 많고 그 대학들에 들어가려는 수험생들도 확실히 많은데, 대학 나온 뒤에도 자기 전공 살려서 취직하는 경우는 잘 없고 있어봐야 상위권 대학, 지거국 출신들한테만 해당될 이야기 아닌가요? 어문계열 살려서 취직한다 해도 어차피 다른 나라 말 배우러 학원만 줄줄이 다니고, 상경계열 살려서 취직하려 해도 세상에 널린 게 스카이 상경계 졸업자들이라 경쟁도 힘들건데 말입니다. 혹여나 아예 학계로 진출한다 해도 서성한라인까지, 많이 포함해봐야 지거국 몇 대학들 출신 외에는 진출도 불가능하고 그들 또한 치열히 경쟁해야 겨우 진출이 가능한데요. 사범대 졸업해도 임용이 안된다고 난리인 통에 말입니다.
4년제 대학교 졸업을 후회하는 사회인이 74.8%라는 기사를 보고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블 0
세젤쉬 끝내고 어삼쉬사 싹 풀고 스블 들어갈 예정인데 그래도 많이 어려울려나 스블 듣고싶은데
-
나 팔로우누른사람이 다 옯창들이야...
-
외대 글 체코어랑 경기 공공인재중에 어디가 더좋을까요? 가깝기는 경기가 더 가까운데 고민되네요
-
전역과 동시에 재종 준비 갈 완료
-
금테는 달아야지…
-
행복해여
-
학기초에 장학금이 50정도 나왓나봄 각 반별로 담임재량으로 학생 한명씩 선정해서...
-
수학 현강 추천 0
현재 수학 공통은 정병호쌤 듣고있고 미적은 김범준쌤 듣고있는데 시즌2 정병호쌤...
-
매직아이발동 1
ak?
-
학종? 교과? 2
내년에 대학 들어가는 고3인데요,(본인 서울 일반고 거주) 제가 성적이 좀 낮아서...
-
ㅇㅈ 9
제 저녁임뇨 왤케 맛없게 찍힘
-
중증외상센터보고 3
외상외과 가고싶어짐
-
힙합들음 난세상이밉다
-
그게 바로 나에요
-
광안리 18
바다가 예뻐요
-
현역 5 재수 4 3수 이상 1 이정도임
-
시대인재 재종반 평일 저녁 자유시간? 이후에 조퇴하면 부모님께 연락감? 대치임
-
너무 늙은거 같아요 10
흑흑
-
중증외상센터 소설에 웹툰에 드라마까지 다퍼먹어서 볼게없네
-
프사 어때 2
동테랑 잘 어울리지
-
먹는거임?뭔진 모르지만 나도 줘
-
어디 가는게 좋을까요?
-
피곤해 7
자고싶다
-
ㅋㅋㅋㅋㅋㅋ
-
수많은 뱃지러들의 기만
-
으흐흐 4
쿠후후 쿠쿠흐
-
제일 잘햇는데 ㅆ발 하나도기억안나고 다쳐틀리는중임 지금 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
-
학교 걍 안 다닐래
-
늪지대 컴퍼니랑 악어의 숲 그립다
-
7가이 2
?
-
강은양쌤 라이브도 이감오프 구매 가능한가요?
-
문과탑이의대가는시대
-
설공 위에는 메디컬 있으니까 사회에서 위치는 설공 < 설경 아닐까
-
오늘 여성시대에 글 올라오려나
-
.
-
집으로 돌아오면서 마지막까지도 하지 못한 말 혼자서 되뇌었었지
-
어려울려나
-
현역 작수 55555 뜬 노베입니다... 수의대가 너무 가고싶어서 삼반수 하려고...
-
머리는 많이 좋은게 아니면 삶이 거기서 거기임
-
푸실 건지 함 투표 부탁드립니다!! '생각'이란 걸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
채육도 챙기심??
-
ㅋㅋㅋㅋㅋㅋ
-
황급히
-
31이 늙은거지 아.
-
를 거꾸로 말해보세요
-
트럼프 "조만간 군, 교육부 조사하도록 머스크에 지시" 1
[서울=뉴시스] 최현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
라떼한잔 드링킹 하면 언제든지 대변방출쇼 ㅆㄱㄴ이네요 지금실천중입니다
낭비중의 낭비..
다른건 몰라도 학계로 진출하려면 서성한이상 또는 지거국이란것에 공감못합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학계에선 서연고아래 다 똑같습니다
예?; 최소 말한건데요.. 상위 대학들 학부 출신에 서성한까지는 봤는데 그 미만으로는 한 두명도 나오기 힘들다는 뜻입니다. 서성한 가면 학계라는 말이 아니라요.
그러니까, 서성한 출신 임용률이랑 그 아래 대학 출신 임용률이랑 별반 차이가 없어요. 현재 학계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 현재 임용률을 봐야죠
임용률로만 보자면 물론 서울대>>>>>연고대>>>서성한>지방대죠 솔직히 그렇다 해도 서성한vs나머지 지방사립대로 뒀을 때 이길 곳은 전자죠. 애초에 학문에 생각 둘 사람도 후자엔 거의 없고
서성한이랑 지방사립이 붙어서 서성한이 이길 경우는 두사람이 다른 스펙이 같을 경우에 한하죠. 그런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게다가 일반적으로 학문의 뜻을 둔사람이라면 학부에 상관없이 서울 상위권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삼는게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되면 학부는 다르지만 학원이 같은 경우가 많이 생기고, 결국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교수임용이 전체적으로 어려워지면서 학부를 보고 뽑는 경우는 점점 적어지는 추세입니다
무슨 학계인지 ㅋㅋㅋㅋㅋ
이과 학계에 경우는 이 경향이 강합니다. 문과 경우는 사학계의 경우를 예시로 드렸습니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6199859&cloc=olink|article|default
동양근현대사 같은 경우 서강대 출신이 4명인데 중앙대 역시 4명입니다. 한양대는 한명도 없는데 조선대 충남대 충북대 한성대등이 각각1명씩 임용되었습니다 물론 한양대가 이 분야에서 약하다는걸 인정합니다
@@ 그렇네요 하지만 제 글에서 '서성한'을 '서연고'로 바꾸어도 대학 수의 과도가 문제인 건 사실이고, 또 현직 교수 학부 통계를 봐도 스카이>서울10위대학>>>>기타대인 것도 사실입니다. 원 자료가 어딘진 모르겠는데 일단 일베 대게자료부터 나와서 링크 올립니다
http://www.ilbe.com/index.php?mid=university&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3289089541
교수님들이 학교다닐 시절의 충남대 충북대 조선대는 지금의 충남대 충북대 조선대가 아니죠. 각각 지방에서 명문대 역할을 했던 학교입니다. 이젠 아닙니다.
학계가려면 최소 서성한 맞습니다. 본인이 특출난 학문적 성과를 이루지 않는 이상.
서울엔 중경외시
지방엔 지거국 남기고 싹 썰어버려야됨
복학왕에 나오는 그런 대학 냅둬서 뭐하게요..
대학이 세워지는건 국민 교육을 위함이 아니라 대부분 이익을 위해서 세워지니까 쓸데없는 대학들이 많이 생기는게 아닐까싶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