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내가 재능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논점 1. 인생은 재능의 연속이다.
음악, 재능이죠
게임, 재능이죠
스포츠, 재능이죠.
그리고 공부는 압도적으로 재능입니다.
사실 인생 모든 일은 재능입니다.
엥? 이게 공평한가?
너무 불공평한 거 아닌가?
저는 공평하다고 생각해요.
오히려 '재능'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 사회가 더 불공평하다고 생각해요.
극단적으로 단순화해서 생각해봅시다.
#예시 1.
우리가 회사를 들어간다고 가정해봅시다.
근데 이 회사는 그냥 뺑뺑이로 사람을 뽑습니다.
이때, 업무 능력이 출중한 A와 업무 능력이 부족한 B가 있어요.
A는 진짜 열심히 살았습니다. 명문대에 진학했고, 학비를 대기 위해서 열심히 아르바이트도 했고, 자격증도 여럿 땄네요.
한편 B는 대충 살았습니다. 학원 가기 싫으면 빼먹어서 좋은 학교도 못갔죠. 학점도 대충 관리했구요. 자격증도 없네요.
그런데 능력에 대한 고려없이 운으로 무작위로 결정되었습니다.
이게 더 공정한 건가요?
#예시 2.
그렇게 모든 게 다 운으로 결정되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이 사회는 더 이상적인 사회일까요?
운동을 못하는 스포츠 선수,
노래를 못하는 가수,
연기를 못하는 배우,
일을 못하는 정치인까지....
이게 더 좋은 사회입니까?
#논점 2. 재능도 운의 영역이 아닌가?
재능이랑 구별해야 되는 말이 있어요.
바로 지능입니다.
재능과 지능은 다른 말이지만, 사람들이 많이 착각합니다.
#지능
지능은 IQ로 환산이 됩니다.
물론 이 지능도 학습을 통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논문도 많지만,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보통 선천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부모에게서 물려받는 요소인 것이죠.
그냥 쉽게 말해서 타고나는 것이라 합시다.
#재능
그렇다면 재능은 도대체 뭘까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재능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라라?
개인이 타고난 능력에 + 훈련에 의해서 획득된 능력을 더한다고?
맞습니다.
재능은 '지능' + '훈련'입니다.
당연히 타고나는 부분도 있지요.
하지만 재능은 내가 후천적인 노력으로 키울 수 있는 요소입니다.
그니까 '재능이 없다 = 노력조차 안한다'입니다.
#생각할 거리
08학년도 6월 '탁월함'에 대해서
16학년도 수능 B '도덕적 운과 도덕적 평가'에 대해서
#예시 1.
저는 실제로 16수능 국어 5등급 따리였습니다.
국어포기자 출신이었습니다.
정말로 국어에는 영 재능이 없다고 생각했었던 사람입니다.
하지만, 지문을 읽으면서 생각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 매뉴얼을 스스로 만들어내기 시작했고,
처음에 익숙해지기까지는 기계적으로라도 읽었습니다.
하루에 지문 10개를 계속 읽었습니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계속 파내면서 읽었습니다.
그렇게 삼수때까지 2년 간 꾸준히 했습니다.
논리적인 측면에서 궁금함이 생겼을 때는
논리학 교과서를 펴내서 읽었습니다.
과학 이론에 대해서 모를 때는
과학 교과서를 읽고, 강의도 들었습니다.
나중에는 어느 순간 자동으로 되더군요.
그러자 남들보다 잘 읽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어느 순간 국어 강사가 돼있더군요.
사실...
이런 간증은 너무나 많습니다.
존경하는 수학 강사인 현우진 선생님도 마찬가지 경험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아래에 영상 링크도 남기겠습니다.
공부하기 전 갖추면 매우 유리한 능력 #현우진 #10대 #동기부여
#논점 3. 재능은 내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내가 재능이 없다고 생각이 든다면,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과연 '제대로' 노력을 했는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재능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제대로, 즉 '정확한 방법'으로 노력해야만 합니다.
그 정확한 방법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글을 쓰면서 구체적으로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해야겠다 진짜
-
누군가를 가르칠려면 아무래도 100점이 되야겟죠…. 흐흐 수학만 파야지
-
비문학 뭣같은거 풀어낼떄 수학 킬러 끙끙 머리싸매다가 종료령과 동시에 답내서...
-
이게 사실임?
-
좀 가자 시발
-
28수능부터는 입시 체제가 살짝 바뀌는 것도 아니고 모조리 갈아 엎어지는 느낌이라...
-
만족함? 지금 진지하게 할까 고민중이라.....
-
정시 100% 도입되면 어케되는거임? 자퇴Boom?
-
배고파 죽겟다 5
오늘만 딱 굶자
-
원광한 = 서울교대엿던 시절이 그리고 무슨 문과교차 치대가 누백 3퍼라 연고 문과랑...
-
어케하면 피할 수 있음
-
담튜브 보다가 깜짝 놀랐네 이때 참고로 상대가 건부/허수 긴 했음
-
정시=조사병단 8
물론 난 거인 위산에 녹는 병사1
-
올해 물지 88 80에서 94 94로 올릴 공부량 vs 생윤사문 96 96 받을...
-
학종+정시 100퍼로 바꿔버리자 1차는 정시로 선발하고 2차는 학종으로 뽑는거임
-
소신발언) 1
-
서울대가 왜 까여요 갑자기
-
지금 들어가면 교생선생님이 나랑 동갑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
-
[단독] 尹측, 헌재에 문형배 SNS 팔로우 목록 제출…'尹 탄핵촉구' '이재명 지지' 2
[앵커] 윤석열 대통령 측이 일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문제삼으며 탄핵 심판에서...
-
대학서열도 바꿔버리죠 서울대 끌어내려 넌 그냥 서울소재 지거국이 딱이야
-
죽은 교육입니다 학습자와 학습자들 사이의 소통, 그리고 학습자와 교사 사이의 소통을...
-
2주기 이하의 원소로만 구성된 3~6원자분자에서 [일산화탄소, 질소 산화물, 오존,...
-
노라줘어어
-
수능 재미로 보는거지? 재미로 보는거겠냐고.
-
중3때부터 수능이나 이에 준하는 진단평가를 쳐서 본인의 객관적인 순위를 알고 그에...
-
걍 물1 화1 박아도 ㄱㅊ은거죠?
-
지금이라도 입학 빠꾸 선언하고 노대 가기 (수업료는 전장이긴 함)입학한 뒤에 반수...
-
이젠 무한 N수가 아니라 무한 재입학 시대 한국이라면 진짜 충분히 가능 내신 망치면...
-
근데 고작 그정도로 추락할 교권이면 추락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물론 학교 현장의...
-
성균관대 한양대 연세대 중앙대 인하대 서울대 서강대 고려대 아주대 건국대 경희대...
-
어쩌다가 이렇게..
-
수시가 훨씬 어렵긴 했음 내신 시험도 미친놈들밖에 없고 생기부 작성하는것도...
-
수업과 학생관리를 같은사람이 할 필요는 없잖아 메가대성에 수업 맡기고 지금 교사들이...
-
과탐의 사망선고 9
땅땅
-
물론 난 못감 ㄹㅇㅋㅋ
-
성적표 나올 때 마다 인생이 좃망할 수 있다는 생각에 쫄깃쫄깃한 감정으로 공부를 할...
-
다들 어떻게 함?
-
대부분은 디시 무조건 할거 같음 말투가 빼박임 ~노 진짜 많이 보여
-
23 수열 극한 계산 24 매개변수 미분 계산 25 251127 26 241127...
-
부산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부산대 25학번]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부산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부산대학생, 부산대...
-
“서울대 2028 정시 전형”과 같은 전형으로 모두 통합해서 일괄 선발하면...
-
수학 누구 들음 5
ㅇ
-
그러면 교사를 없애자 솔직히 특목,자사 아니면 가르치는거 없잖아ㅇㅇ
-
사실상 오징어게임임
-
헌재 재판관 3명 회피 권고 거부할 듯…재판관 성향 쟁점화 1
【 앵커멘트 】 이와 함께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 측이 제출한 재판관 3명에 대한...
-
수능 따위에 굴복할 순 없다
-
는 말 동의 못하는게 좋은 학교에서 지원 빵빵하게 받으면서 연구해봤으면 몰라도 걍...
-
28이죠?
-
이과여도 확통할 것 같은데 미적분은 현역 1 n수 9 파이널 별들의 전쟁
재능은 결국 노력으로 만들어낸다는 말씀에 희망이 생겼습니다ㅎㅎ 은우 쌤의 ’정확한 방법‘에 대해 빨리 알고싶어요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