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린몽 · 1037202 · 5시간 전 · MS 2021

  • 옥린몽 · 1037202 · 5시간 전 · MS 2021

    The arrangements도 그러하다라는 것을 강조

  • 아자고싶다 · 1321143 · 5시간 전 · MS 2024

    여기서 so 품사가 뭐예요 전치사?

  • 수능장아찌 · 1298237 · 5시간 전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옥린몽 · 1037202 · 5시간 전 · MS 2021

    So는 부사입니다

  • 옥린몽 · 1037202 · 4시간 전 · MS 2021 (수정됨)

    lexico.com << 영어학습에 최고인데
    so는 다른 품사도 있지만
    저기서는 adverb(부사) 13번 뜻이네요

  • 아자고싶다 · 1321143 · 4시간 전 · MS 2024

    오오옹 감사합니다!!

  • 팜하니의파마산 · 1256291 · 5시간 전 · MS 2023

    고슴도치인 듯?

  • 아자고싶다 · 1321143 · 4시간 전 · MS 2024

    내 굵@빵한 가시에 찔려볼텨?
  • 팜하니의파마산 · 1256291 · 4시간 전 · MS 2023

    Hug.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4시간 전 · MS 2019 (수정됨)

    So v s는 앞의 so 때문에 도치되누거 맞나요?

    → 부사 so가 '또한, 마찬가지로'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
    so는 문두로 이동하며 그 뒤의 문장은 '의문문'이 됩니다.

    그래서 so are the arrangements dynamic으로 써야 합니다.

    그런데, so/neither 도치구문은 주어 뒤를 생략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예문에서도 so are the arrangements (dynamic)으로 쓴 겁니다.

    그래서 겉으로 보기에는 so V S 처럼 보이니까 이것을 'so V S' 공식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있는데, S 뒤를 생략시키지 않고 그대로 적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여 'so V S' 공식은 바르지 않습니다. (단, 이때 V가 대동사일 때는 틀린 것은 아님)

  • 아자고싶다 · 1321143 · 4시간 전 · MS 2024

    감사합니다!!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4시간 전 · MS 2019 (수정됨)

    말미에도 적었지만, so[neither] V S 공식에서 V가 대동사라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어차피 이 대동사가 동사 뒤의 표현들(목적어든 보어든...)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V가 대동사가 아닐 경우, so[neither] + 의문문 구조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해당 개념을 'so[neither] + V + S'라는 공식으로만 단편적으로 알아둔다면 해석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so[neither] + V + S 표현을 보시면, 사실은 so[neither] + 의문문인데, 뭔가 겹치는 표현들을 생략하여 겉으로 보기에는 so[neither] + V + S처럼 보이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때 생략되는(=겹치는) 표현은 보통 앞문장에 사용된 내용입니다. 왜냐하면 이 표현 자체가 '(앞문장의 내용을) 공감'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앞문장에서 언급된 일부 표현들을 생략하여 'so[neither] + V + S'로 간단히 쓰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질문하신 문장에서도 so + V + S 뒤에 앞문장에 쓰인 표현인 dynamic(보어)이 생략된 것을 알 수 있는 겁니다.

    열공하세요 :)